810 |
|
|
한국 여성신학, 동북아 평화를 모색하다이은선의『동북아 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동연, 2020
|
갓 출판되어 따끈함이 가시지 않은 이은선 박사의 저서 『동북아 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을 가장 먼저 읽는 특권을 누렸다. 이 책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관계를 둘러싼 오랜 역사를 응시하고, 당면한 현실을 직시하며, 미래에 대... |
김정숙 | 2020년 11월 |
|
| |
|
809 |
|
|
체제와 교리에 갇힌 교회가 하나님 나라가 되는 길임희국의『블룸하르트가 증언한 하나님 나라: 19세기 독일의 산업화, 민족주의, 제국주의』대한기독교서회, 2020
|
필자는 일찍이 블룸하르트 부자(父子)의 저술을 독일어로 접하면서 이들을 알게 되었다. 비록 상세히 읽을 기회는 없었지만 그들의 치유 사역과 주요 사상에 관심이 있었고 더욱 깊이 알고 싶은 마음도 늘 간직하고 있었다. 그런데 마... |
이후정 | 2020년 11월 |
|
| |
|
808 |
|
|
멀리서, 또 가까이에서 바라본 츠빙글리의 종교개혁페터 오피츠・정미현・한스 스투룹 지음, 정미현 옮김의『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얼마나 알고 계셨나요?』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0
|
『츠빙글리 종교개혁, 얼마나 알고 계셨나요?』는 183쪽 분량의 작은 책자이다. 하지만 책이 담고 있는 내용이나 그 메시지는 결코 가볍지 않다.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취리히신학대학 페터 오피츠 교수가 츠빙글리의 ... |
박경수 | 2020년 10월 |
|
| |
|
807 |
|
|
복음주의는 왜 페미니즘과 만날 수 없는가양혜원의『종교와 페미니즘, 서로를 알아가다』비아토르, 2020
|
이 책은 종교와 페미니즘이 왜 서로 협력적으로 만날 수 없는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의 특징을 대략 소개하면서 어떤 지점들이 종교에 그대로 적용시키기에 무리가 있는지를 설명하며 페미니즘의 문제점이 다... |
최순양 | 2020년 10월 |
|
| |
|
806 |
|
|
코로나는 ‘환경’ 전염병이다마크 제롬 월터스 지음, 이한음 옮김의『에코데믹, 끝나지 않는 전염병』책세상, 2020
|
이 책은 요즘처럼 코로나로 집 밖에 나갈 수 없을 때 구약성서의 예레미야와 함께 읽으면 좋은 책이다. “내가 그들을 보내지 아니하였어도 그들이 내 이름으로 거짓을 예언함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렘 29:9) 하나냐와 같은 예언... |
장윤재 | 2020년 10월 |
|
| |
|
805 |
|
|
‘본래적인 것’의 다함 없는 추구, 인간을 향한 역사와 선교적 삶권호경의『역사의 흐름, 사람을 향하여: 권호경 목사 회고록』대한기독교서회, 2019
|
인류 공동체가 코로나19바이러스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진력하고 있는 오늘, 대한민국은 정치화된 한국 극우 개신교의 반사회적 신앙 현상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우리가 속한 국가 공동체가 생명 공동체임이 더욱 분... |
고지수 | 2020년 10월 |
|
| |
|
804 |
|
|
코로나19 시대에 구약학자가 준 고마운 선물월터 브루그만 지음, 신지철 옮김의『다시 춤추기 시작할 때까지』IVP, 2020
|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20년 1월 30일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다. 3월 11일에는 뒤늦게나마 팬데믹(pandemic)을 선포했다. 8월 2일 기준으로 세계 누적 확진자는 1,802만 명, 사망자는 68만 8,... |
정현진 | 2020년 9월 |
|
| |
|
803 |
|
|
한국교회를 각성시킬 두 권의 책유관지의『북녘교회 이야기』대한기독교서회, 2019 / 김병로 외 3인의 『그루터기』박영사, 2020
|
북한교회에 관한 두 권의 책 『현행 행정구역에 따라 재구성한 북녘교회 이야기』(이하 『북녘교회 이야기』)와 『그루터기』가 연이어 출간되었다. 이 책들이 다루는 내용은 한국교회 성도들에게 생소하고 인기 없는 주제이지만, 통... |
정종기 | 2020년 9월 |
|
| |
|
802 |
|
|
유가 사상과 신정통주의 신학의 만남- 왕양명의 수신론과 바르트의 성화론김흡영의『왕양명과 칼 바르트: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대화』예문서원, 2020
|
한국 신학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대한예수교장로회를 중심으로 한 보수신학, 한국기독교장로회의 민중신학, 기독교대한감리회의 토착화 신학이다. 토착화신학은 1957년 창간된 「기독교사상」을 통해 논의되기 시작했다. 기독교와... |
노영상 | 2020년 9월 |
|
| |
|
801 |
|
|
시공에 가득 찬 생기를 호흡하다송철규・민경중의『대륙의 십자가: 중국 5대 제국과 흥망성쇠를 함께한 그리스도교 역사』메디치미디어, 2020
|
시공을 관통하며 눈에 보여주는 역사 이야기
스마트 시대를 산다는 건 한편으로는 책을 읽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음을 뜻한다. 특히 두꺼운 책, 게다가 역사책, 그리고 우리나라도 아닌 다른 나라의 역사를 다룬 책을 읽는다는 ... |
문영걸 | 2020년 8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