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2 |
|
|
알 듯 모를 듯한 형제단의 신앙과 그 선교 역사 들여다보기에발트 루츠키 엮음, 이종실 옮김, 『체코 형제단의 역사: 모라비안 선교 연대기』(동연, 2023)
|
1. 그리스도인이라면 ‘모라비안 형제단’(Moravian Brethren, 이하 ‘형제단’)으로 알려진 종파에 대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소위 ‘종교개혁 이전의 종교개혁’의 일익을 담당한 유서 깊은 교회, ‘형제단’이란 단어에서 ... |
안교성 | 2023년 08월 |
|
| |
|
921 |
|
|
진짜 양반은 스스로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안동교회역사위원회, 『안동교회 111년사』(킹덤북스, 2022)
|
교회사학계와 역사학계의 최근 성과들을 비교적 잘 반영한 개교회사가 나와 반가움이 크다. 1909년 경상북도 안동에 세워진 안동교회의 역사를 담은 『안동교회 111년사』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오랜 역사를 가진, 그래서 이제 자신... |
송현강 | 2023년 08월 |
|
| |
|
920 |
|
|
한국 교회 전도에 대한 총체적 성찰과 구체적 실천을 위한 길라잡이한국선교신학회, 『한국 교회 전도의 새로운 방향』(대한기독교서회, 2023)
|
1. 2024년 송도에서 개최될 제4차 로잔 대회를 앞두고 한국 교계에서는 다양한 모임들을 통해 이를 준비하는 선교학적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보다 앞서 10여 년 전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라는 주제로... |
김아영 | 2023년 08월 |
|
| |
|
919 |
| |
|
918 |
|
|
먹는 것이 아름답다리사 이셔우드, 이난희·유난희 옮김, 『뚱뚱한 예수: 음식·여성·기독교에 대한 매혹적인 문화사』(대장간, 2023)
|
유대교 지도자들은 예수에 대해 불결하고 더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종교를 통해 헤게모니를 장악한 권력자들은 그 권력 구조를 작동시키는 한 방법으로 유대교 전통인 정결예식을 강화하였는데, 이러한 프레임으로 예수를 본 ... |
김선주 | 2023년 7월 |
|
| |
|
917 |
|
|
한국 신학의 랜드마크김동건, 『창조 섭리 타락 계시』(대한기독교서회, 2023)
|
이 책은 848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역작이다. 저자 김동건 교수는 이 책이 “창조에서 종말까지”라는 큰 주제 아래 계획한 5부작 중 첫 번째 책이라고 밝힌다. 하지만 독립된 주제로 구성하였기에 시리즈에 구애받지 않고 한 권만 ... |
윤철호 | 2023년 7월 |
|
| |
|
916 |
|
|
신약성서 개론(Einleitung)의 새로운 교과서, 슈넬레의 역작으로 신약학 입문하기(einführen)우도 슈넬레,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우도 슈넬레의 신약정경개론』(대한기독교서회, 2023)
|
1. 이 책은 독일의 구 동독 지역에 있는 할레대학교(Martin Luther Univer-sity of Halle-Wittenberg)에서 20년 이상 신약학 교수로 봉직하고 은퇴한 우도 슈넬레(Udo Schnelle, 1952- )가 재직 중에 저술한 신약성서 입문서이다. 이 책은 1994년 독일에... |
김영인 | 2023년 6월 |
|
| |
|
915 |
|
|
정의로 가는 길, 대화로완 윌리엄스‧메리 저나지, 강성윤‧민경찬 옮김, 『로완 윌리엄스와의 대화: 정의와 사랑에 관하여』(비아, 2023)
|
다시 정의를 묻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단어 중 하나이다. 헤겔은 중세가 끝나고 근대가 시작된 시기를 정확하게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1492년으로 지목한다. 헤겔의 ... |
설왕은 | 2023년 6월 |
|
| |
|
914 |
|
|
재일 한국인 청년들은 왜 반전(反戰) 투쟁에 나섰나니시무라 히데키, 심아정‧김정은‧김수지‧강민아 옮김, 『‘일본’에서 싸운 한국전쟁의 날들: 재일조선인과 스이타사건』(논형, 2020)
|
만에 하나 전쟁이 나길 기도하는 목사가 있다고 하면, 그는 군수회사 주식을 사들인 뒤 전쟁이 터지길 바라는 탐욕스러운 투자가나 다름없는 ‘사이비 목사’일 것이다. 죽음의 무기를 팔아 배를 불리려는 전쟁상인들은 날마다 기도를... |
김재명 | 2023년 6월 |
|
| |
|
913 |
|
|
풍류해석학: 성서의 근본 은유의 도맥은 선맥(僊/仙脈)이다
|
* 이 글은 본지 2023년 2월호에 실린 김흡영 교수의 서평에 대한 저자의 보론(補論)이다. 필자는 한정된 지면 관계상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문답 형식으로 글을 구성했다.-편집자
한국을 넘어 세계 신학계에 널리 알려진 ‘도의 신학자’ 김흡영 교수(평자)가 필자의 저서 『선맥과 풍류해... |
이호재 | 2023년 5월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