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의 위기를 이야기한다. 이러한 ‘기독교 위기설’을 뒷받침하듯 여러 곳에서 그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교세는 점점 약해지고, 사회적 영향력도 축소되고…. 과학이나 스포츠 같은 대체종교의 발달 역시 기독교를 위협하는 요소다. 기적같은 성장을 이루었다는 한국 교회 역시 이러한 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성장은 멈추어 버렸으며 사회적 공신력도 잃어버렸...
한국 학자가 쓴 기독교윤리사의명저. I권은 2천년 역사 속에서 기독교윤리 사상이 생성되었던 역사적 자리에 대한 정치, 사회, 경제적 요소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기독교 신앙의 윤리적 내용을 입체적으로 밝혀준다. II권은 쉴라이어마허로부터 현대 기독교 페미니스트 윤리학자들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학자들의 기독교윤리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다루고 있다. 자유주의신학과 신정통주의신학...
정의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가리켜 ‘정의롭다’고 혹은 ‘정의롭지 못하다’라고 말하는가? 우리 사회에서 ‘정의’라는 말처럼 흔하게 쓰이는 말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의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정의로운 법률은 무엇인지, 정의로운 경제 질서는 무엇인지, 정의로운 정치 질서는 무엇인지, 어떻게 사는 것이 정의롭게 사는 것인지...
모든 사람에게 인권을 보증하는 사회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모든 사람이 이루어내야 하는 공동의 과제이자, 모든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선언한 기독교의 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 역시 이 과제를 우선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외국인 이주 노동자란 이유로, 양심적 병역거부를 했다는 이유로,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또 여성이...
기독교 역사상 최고의 성인으로 꼽히는 아우구스티누스는 전쟁이 죄의 결과인 동시에 죄에 대한 비극적 치유책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전쟁이 평화를 깨뜨리긴 하지만 깨어진 평화를 회복하기 위해선 전쟁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말처럼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전쟁은 정말 필요한 것일까.
전쟁과 평화에 관한 기독교의 태도는 전통적으로 둘로 나뉘어진다. 폭력은 어떠한 ...
성서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가치관과 규범은 오늘 우리의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을까?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은 실제 생활에서 성서의 가치관이나 윤리보다는 세상의 가치관이나 윤리를 따라 행동한다. 이는 그들의 믿음이 적어서가 아니라 그들이 기독교적인 삶의 방식을 실제적으로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는 신자들에게 기독교적인 세계관과 가치관을 심어주고 그것을 삶의 ...
전 지구적 생태 위기를 창조 신앙 안에서 ‘하나님의 생태학’으로 진단한 연구 논문집. 환경 파괴와 생태 위기의 근원적 답을 신구약성서에서 찾고 있는 9편의 주옥같은 논문이 실려 있다. 생태에 대한 인간의 책임, 인간과 생태의 공생을 위한 신학적 근거를 새로운 시각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교회 공동체와 한국 사회를 위한 제언을 담고 있다. 청소년, 노인, 여성, 장애인 문제, 가치관의 문제, 도시와 농촌 문제, 청소년 비행과 범죄 문제, 빈곤 문제, 노동과 직업윤리 문제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며, 이에 대한 교회의 책임과 그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