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0 |
|
|
복음의 은혜 받아 거듭난 사람들
|
김제군 황산면 들판에 선인동이라는 마을이 있습니다. 이 마을 사람들은 가을철 수확이 끝나면 여러 퇴폐적인 생활을 함으로 1년 농사를 한 번에 날려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하였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전해들은 테이트(Lewis Boyd Tate, 한... |
전병호 | 2015년 4월 |
|
| |
|
839 |
|
|
교회재정 문제에 대해 한국교회는 지혜를 구하라
|
교회재정 장부와 예배당 건축 관련 서류 공개 여부로 갱신위원회 측 교인들과 갈등을 빚고 있는 서울 사랑의교회가 법원 판결을 집행하러 온 집행관들과 실랑이를 벌인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새삼 교회재정의 투명성과 장부 공개 문제가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사랑의교회 갱신위원회 측 교인들의 요청에 따라 서... |
권혁률 | 2015년 4월 |
|
| |
|
838 |
|
|
이 시대의 한국교회를 위한 영성노트
|
우리는 종교적 지형에서도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지구 북반구의 기독교 시대는 지나가고 있으며, 남반구의 기독교가 부흥하며 주도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서구 중심으로 2천여 년 가까이 경영해 오시던 하나님의 손길은 다시 동방을 가리키고 움직이신다. 아시아의 중국이 거대한 기독교 존(zone)... |
이후정 | 2015년 3월 |
|
| |
|
837 |
|
|
모악산 자락에 뿌리내린 복음의 숲(2)
|
남대창교회는 1908년 3월 군산에서 전주로 옮긴 전킨 목사와 김필수 장로를 초빙하여 공동회의를 열고 최학삼을 장로로 선출했으며, 1910년 4월 이명순의 아들 이재언을 장로로 선출하였습니다. 1915년에는 최윤중과 그 아들인 최태진이 ... |
전병호 | 2015년 3월 |
|
| |
|
836 |
|
|
삶의 위기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3)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하여
|
눈에 가시처럼 여겨지는 우울증
‘우울증’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까? 우울증이라든가 멜랑콜리(우울함, 비애감 등 슬프고 불행한 감정을 말한다- 역자주)하다는 것은 요즘 눈의 가시처럼 적대시되고 있는 듯 합니다.
최근 독일에서 『멜랑콜리, 존재의 서글픈 가벼움』(Josef Zehentbauer: Melan-cholie, Di... |
마카베 고로 | 2015년 3월 |
|
| |
|
835 |
|
|
비신화화론에 의한 예배음악의 실존 찾기
|
20세기 신학자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은 비신화화론(非神話化論, (Entmythologisierung)을 주장하였다. 불트만의 주장은 이렇다. 신약성서는 그것이 쓰일 당시의 여러 가지 신화적인 요소를 반영하고 있는데, 우리가 예수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이와 같은 신화적인 요소들을 성서로부터 제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 |
문성모 | 2015년 3월 |
|
| |
|
834 |
|
|
신뢰의 위기, 한국교회는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우리나라의 주요 종교 가운데 개신교인들의 헌신도가 가장 높은 반면 개신교회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는 정반대로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갤럽이 한국인의 종교 실태와 종교의식을 조사한 결과인데, 그렇지 않아도 기독교(개신교회)의 게토화 현실에 대한 우려가 큰 가운데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우리들에게... |
권혁률 | 2015년 3월 |
|
| |
|
833 |
|
|
이웃 사랑과 환대의 영성
|
여는 글
진정한 영성의 삶은 내면성과 외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흔히 영성을 하나님과의 관계에 집중해 생각하면서, 깊은 내면의 삶이나 신령한 삶으로 표현하기 쉽다. 하지만 기독교 영성의 본질이 “타자를 위한, 타자를 향한 존재”로서의 하나님 사랑과 더불어 이웃 사랑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은 우... |
이후정 | 2015년 2월 |
|
| |
|
832 |
|
|
모악산 자락에 뿌리내린 복음의 숲(1)
|
모악산에 깃든 깊은 종교성
남한의 국토면적은 한반도 면적의 45%(99,284㎢)로 그 70%가 산지를 이룹니다. 태백산맥 뒤로 마식령산맥, 차령산맥, 조령 산맥, 소백산맥 그리고 광주산맥이 줄지어 마치 등뼈에 붙은 갈비뼈 형상으로 서해바다를 향해 뻗어 있습니다. 노령산맥 끄트머리에 마치 정맥과 동맥이 흐르듯 만... |
전병호 | 2015년 2월 |
|
| |
|
831 |
|
|
누구를 위한 국가조찬기도회인가?
|
다음달(오는 3월) 제47회 국가조찬기도회가 서울에서 열린다. 국가조찬기도회 참석자 규모는 해를 거듭하며 확대되고 있지만 이를 둘러싼 논란도 동시에 확대되는 양상이다. 올해는 특히 국가조찬기도회의 성격 자체를 둘러싼 해묵은 비판과 더불어 그 주체에 대한 논란까지 더해지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현재 국... |
권혁률 | 2015년 2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