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0 |
|
|
세종대왕에게 배우는 예배음악의 정신
|
1. 두 종류의 음악
우리나라에는 두 종류의 음악이 있다. 그 하나는 소위 국악이라고 불리는, 우리 민족과 수천 년간 그 역사를 같이해 온 전통음악이고, 또 하나는 구한말 수입되어 백여 년간 이 땅에 뿌리 내린 서양음악이다. ... |
문성모 | 2016년 1월 |
|
| |
|
879 |
|
|
곡식 거둘 때에 기쁨으로 단을 거두리로다
|
1893년 1월의 예양협정에 의해 호남선교를 맡은 남장로교 선교회는 호남에 선교사를 직접 파송하는 것이 이르다고 판단하여, 다음 달인 2월 레이놀즈 선교사의 어학 선생인 정해원을 전주로 보내 전주 선교지를 물색하게 했습니다. 이에 정해원은 전주에 내려와 적당한 곳을 찾다가 완산 은송리에 초가 1동을 마련합니... |
전병호 | 2015년 12월 |
|
| |
|
878 |
|
|
예수는 왜 유다를 제자로 뽑으셨나 외 1편
|
그 무렵, 예수께서 기도하러 산으로 가시어 밤새도록 하느님께 기도하셨다. 날이 밝자 제자들을 부르시고 그들 가운데 열둘을 뽑아 사도로 삼으셨다. 뒤에 베드로라는 이름을 주신 시몬, 그 아우 안드레아, 야고보와 요한, 필립보와 바르톨로메오, 마태오와 토마,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혁명당원 시... |
이현주 | 2015년 12월 |
|
| |
|
877 |
|
|
교회 안의 평화,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
교회는 세상에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를 선포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앞장서는 신앙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교회가 사회의 분쟁과 갈등을 해결하기는커녕 교회 내부의 갈등으로 인해 지탄을 받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얼마 전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과 윤영관 전 외교부 ... |
권혁률 | 2015년 12월 |
|
| |
|
876 |
|
|
크리스마스 캐럴 이야기
|
성탄절이 되면 캐럴이 울려 퍼진다. 캐럴(carol)은 4세기의 암브로시우스가 지은 Veni redemptor gentium(오소서, 만민의 구세주여)가 그 효시라고 알려져 있다. 386년에 만들었다는 이 가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Veni, redemptor gentium; /ostende partum Virginis; / miretur omne saeculum: / talis decet partus Deum. (오소서, 만민의 ... |
문성모 | 2015년 12월 |
|
| |
|
875 |
|
|
따뜻하고 다정스런 죽음의 길을 거닐었네, 그러한 삶이 있었기에-죽음을 앞둔 올리버 색스의 기고문을 중심으로
|
올해 2월 나는 내 암의 진행상황, 그리고 곧 다가올 죽음에 관하여도 이와 같이 솔직해져야 한다고 느꼈다. 사실 「뉴욕타임즈」 에 실린 “나의 생애”(My Own Life)라는 에세이를 통해 이를 밝힐 때 나는 병원에 있었다. 7... |
이영란 | 2015년 11월 |
|
| |
|
874 |
|
|
거룩한 교단총회를 소망하며
|
해마다 9월에는 장로교단들의 총회가 일제히 열린다. 감리교와 성결교 등 10월이나 5월에 총회를 여는 교단들도 많지만 한국교회 안에서 장로교단의 숫자가 워낙 압도적이다 보니 장로교단 총회를 통해 그 해 한국교회의 기상도를 살펴보기에 큰 무리가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올해 총회는 100회 총회... |
권혁률 | 2015년 11월 |
|
| |
|
873 |
|
|
예수는 왜 귀신들의 말을 금하셨나 외 1편
|
# 해질 무렵, 사람들이 갖가지 병자들을 데려왔고 예수께서는 그들 한 사람 한 사람에 손을 얹어 모두 고쳐주셨다. 귀신들도 여러 사람한테서 떠나며 소리를 질러댔다. “당신은 하느님 아들이오!” 예수께서 그들을 꾸짖으며 말하지 말 것을 명하셨다. 그분이 그리스도인 줄을 그들은 알았던 것이다. (... |
이현주 | 2015년 11월 |
|
| |
|
872 |
|
|
맥커첸 선교사의 놀라운 전도력
|
맥커첸 선교사와 삼례제일교회
1901년 남장로교회 파송을 받은 맥커첸(Luther Oliver McCuchen, 마로덕(馬路德)) 선교사는 서울에서 어학연수를 받고 1902년 전주 선교부에 독신으로 부임했습니다.(1908년 남감리회 선교사로 내한하여 배화... |
전병호 | 2015년 11월 |
|
| |
|
871 |
|
|
초기 찬송가의 한국화를 위한 노력과 결실
|
우리나라의 찬송가는 1894년에 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가 발행한
<찬양가>를 최초의 찬송가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악보 있는 찬송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악보 없이 가사만 있는 무곡(無曲) 찬송가는 감리교 선교사 존스(G. A. Jo... |
문성모 | 2015년 11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