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0 |
|
|
민중예배의 뿌리 찾기
|
한국 예배문화의 뿌리
한국교회의 예배는 한마디로 미국교회 예배의 판박이다. 미국에서 예배를 드리나 한국에서 예배를 드리나 전혀 이질감이 없다는 말이다. 예배의 형식도 비슷하고 부르는 찬송가도 거의 같기 때문이다. 한국과 미국은 문화적 환경이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예배의 정서가 거의 같다는 것... |
문성모 | 2014년 9월 |
|
| |
|
809 |
|
|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종교
|
-"함께 살아감"의 세계를 향하여
무관심은 인류에 대한 범죄의 시작이다. - 자크 데리다1)
코즈모폴리터니즘 - “미완성의 프로젝트”로서의 담론과 실천
“지구화”라는 현상이 이제는 거부할 수 없는 일상적 삶에 들어오면서, 코즈모폴리터니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기 ... |
강남순 | 2014년 9월 |
|
| |
|
808 |
|
|
자살과 정신질환
|
자살과 정신질환
숙고(熟考)의 결과로 택한 자사, 또는 냉정한 판단에 근거한 자사가 존재한다는 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오래전부터, 수치스럽게 사니 죽음을 택하고자 했던 예는 철학자들이나 무사들 중에 적지 않았으며, 일본에서는 할복이라는 자사의 한 형태가 존재했습니다. 기독교인이었던 니토... |
이시마루 마사히코 | 2014년 9월 |
|
| |
|
807 |
|
|
역사인식과 기독교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김영주 목사)에서는 지난 6월 19일, 최근 논란을 불러일으킨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의 발언에 대해 전문가들을 모시고, 역사학적, 신학적으로 검토하는 <긴급 신학토론회>를 개최했다. 두 시간 가량 진행된 그날의 토론회 내용을 요약, 소개한다.
사회자 : ... |
김은규 외 3인 | 2014년 8월 |
|
| |
|
806 |
|
|
코즈모폴리턴 환대의 신학-필요성과 불가능성의 경계에서
|
낯선 이들에게 환대를 베푸시오
- 바울 (롬 12:13)1)
종교는 책임성이다.
그렇지 않다면 종교란 무의미하다.
- 자크 데리다2)
“종교적”이 된다는 것은 무엇인가 - 연민적 시선의 책임적 체현
코즈모폴리턴 담론은, 모든 개별인들이 그 사람의 다양한 사회정치적 또는 문화적 배경과 상... |
강남순 | 2014년 8월 |
|
| |
|
805 |
|
|
한국교회의 교육선교와 호남의 첫 열매
|
한국 교회의 미션스쿨 설립과 작금의 연세대 사태
1885년 언더우드 선교사는 조선에 오자마자 미국 공사 푸트에게 이런 편지를 보냈습니다.
우리는 교육 사업을 시작하고 어학을 연구하러 왔습니다… 우리는 서울에서 한국어 연구생으로서 또는 교육 사업가로서 미국의 국기아래서 보호를 받... |
전병호 | 2014년 8월 |
|
| |
|
804 |
|
|
금욕과 정화
|
영성의 삶은 육체의 삶처럼 성장과 단계, 진보가 있다는 것이 매우 중요한 포인트다. 이미 영적 진보에 대해 언급한 바 있지만, 여기서 우리는 좀 더 포괄적인 주제로 상고해 보려고 한다. 성서 전반에 걸쳐 특히 신약성서에서 명백히 주장되고 있는 영적 진보는 사도 바울의 말씀에서 주목할 만한 표현이 나타난다. 사... |
이후정 | 2014년 8월 |
|
| |
|
803 |
|
|
광복절기념주일에 부르는 애국가 찬송 <피난처 있으니>
|
애국가의 역사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이후 세계열강에 문호를 개방하고 새로운 문물을 접하면서,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가들이 나오게 되었다. 이 시대에 나온 애국가들은 1896년 이필균의 애국가, 제물포 전경택의 애국가, 한명원의 애국가, 유태성의 애국가, 달성 예수교인들의 애국가, 새문안교회... |
이천진 | 2014년 8월 |
|
| |
|
802 |
|
|
'문창극 드라마'와 한국교회
|
문창극 논란은 본인의 총리 후보 사퇴로 뜨겁던 공방의 열기가 사라져버렸지만 한국 사회, 특히 한국교회에 남긴 여파는 여전하다. 한편의 드라마 주연처럼 혜성처럼 등장해 뜨거운 반향을 일으키다가 무대 뒤로 사라져버린 문창극 씨 본인보다도, 논란 와중에 스스로 또 다른 주연을 자처하며 무대로 뛰어오른 한국... |
권혁률 | 2014년 8월 |
|
| |
|
801 |
|
|
호남 선교의 관문, 군산
|
궁멀에서의 새 출발
19세기 말 조선은 열강의 위협 앞에서 풍전등화와 같이 그 사직의 명운이 가물거리고 있었습니다. 또각거리는 게타(下, 일본의 전통 나막신) 소리가 삼천리 방방곡곡에서 들려 왔습니다. 군산은 일본인들의 코앞에 펼쳐 놓은 잔치 상과도 같았습니다. 군산의 드넓은 황금 논밭을 바라 본 일본... |
전병호 | 2014년 7월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