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 대한기독교서회 | 회원가입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기독교사상 > 교회와목회
교회와목회
900
'세월호'(世越號)가 돌이켜 멈춰 세운 '세월'(歲月)- 이 세상[世]을 넘어서기[越] 위한 생명의 '한 마당'[一座]을 꿈꾸며

데자뷔 학위 논문 쓰기에 여념이 없던 2014년 4월 16일, 나는 일순간 텔레비전에서 눈을 떼지 못하며 아연(啞然)했다. 한 국가의 비정함과 자본의 탐욕 그리고 진실을 가리는 언론과 타락한 종교가 304명의 어린 학생과 국민을 바닷속에 수장(水葬)시켰다. 이후부터 이어진 세월호(世越號, MV Sewol) 유족들의 ...

홍이표 | 2016년 05월
899
기억하고 공감하라신명기 8:14, 누가복음 10:30-37

* 이 글은 세월호 참사 2주기를 맞아 '기독교 세월호 언탁회의'가 주최하여 2016년 4월 11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기독인 집중 기도와 행동의 날"행사 중 "304인을 추모하는 기독인 기도회"에서 전한 설교이다. 세월호 참사 2주기를 기념하여 고귀한 304명의 생명을 추모하기 위해 모인 광화...

박철 | 2016년 05월
898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 찬반 논란과 흡수통일 가능성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그에 따른 대북제재로 한반도 정세가 마주보고 달리는 기차처럼 강 대 강(强對强) 대립구도로 치닫고 있다. 남북한 화해협력의 마지막 상징과도 같았던 개성공단마저 폐쇄되면서 남북관계는 루비콘 강을 건넌 것처럼 되돌리기 어려운 대립일변도 국면으로 나아가고 있는 반면, 미국과 북한은 핵...

권혁률 | 2016년 05월
897
한국적인 찬송가를 만들어야 한다- <백만구령가>의 중요성

1. 한국적 찬송가란 무엇인가 우리는 한국적인 찬송가를 말할 때 흔히 5음 음계의 멜로디를 가진 찬송가를 생각한다. 즉 서양의 7음 음계가 아닌 우리나라 전통적인 5음 음계의 멜로디를 사용하여 찬송가를 만들면 이...

문성모 | 2016년 05월
896
4·13 총선을 바라보며

선거를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한다. 국가의 주인은 국민이고, 국민은 국가의 운영을 담당할 책임자들을 뽑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 뽑는 방식이 선거가 아니고는 달리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결정을 표출할 길이 없다. 꽃은 아름답다. 향기가 나면 더더욱 좋다. 우리 국민은 그동안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수많은 세월...
박종화 | 2016년 4월
895
세월호 사건에서 배우는 죽음과 부활의 신학

세월호 사건에서 죽은 304명의 죽음은 무엇을 가르치는가? 2년 전 세월호에 타고 있던 476명 가운데 304명이 바다에서 죽었다. “가만히 있으라.”는 선원들의 안내방송을 듣고 배에 머물렀던 304명은 모두 죽었고 스스로 배에서 탈출한 소수의 사람들만 구조되었다. 온 국민이 304명이 죽어가는 것을 안타...
박재순 | 2016년 4월
894
기억함에 구원의 비밀이 있다

“기억함에 구원의 비밀이 있다. 망각은 포로의 삶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 말은 나치에 의한 유대인 대학살(홀로코스트)의 희생을 잊지 말자는 유대인 경구이다. 그동안 연재해 왔던 독일 평화순례기를 마무리 지으면서 이번 호에서는 기억의 평화교육이라고 이름 붙일만한 통일독일 사회의 노력들을 소개한다. 어...
정지석 | 2016년 4월
893
4·13 선거와 한국교회의 제자리 찾기

한국교회가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제각기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교회의 선거와 정치에 대한 관심이 어느 정도인가는 “기도회가 정치집회인가… 종교계 ‘政敎분리’ 논쟁”이라는 「한국일보」 기사 제목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 기사는 불교계 단체와 개신교 단체가 ‘공직자의 정치...
권혁률 | 2016년 4월
892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유산 (3)- 한국인 애창 찬송 “예수 사랑하심을”

1) 찬송가 “예수 사랑하심을”의 탄생 배경 찬송가 “예수 사랑하심을”의 가사를 쓴 사람은 영국의 여류 작가 안나 배틀릿 워너(Anna Bartlett Warner, 1827–1915)이다. 그녀는 언니 수잔(Susan Warner, 1819–1885)과 함께 공동으로 ...
문성모 | 2016년 4월
891
3.1 운동과 역사 창조의 밀알

3·1 운동과 그 의미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아래 신음하던 한국인들이 마침내 떨쳐 일어났다. 전 민족적인 규모로 일어난 3·1운동은 이 날, 대한의 독립을 선언하였고,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비폭력적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통계에 의하면 당시 우리나라의 인구는 약 2천만이라고 한다. 그런데 그해 3월에서 5월까지 ...
양현혜 | 2016년 3월
게시물 검색


2023년 4월호(통권 772호)
이번호 목차 / 지난호 보기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